티스토리 뷰

목차


    ✅ 지급 금액 및 구조

     

    공제 구조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기업·정부가 공동으로 납입하여 만기 시 청년이 목돈을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청년이 2년간 총 400만 원을 납입하면, 기업과 정부가 각각 400만 원씩을 추가로 납입해 최종 1,200만 원 +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납입 방식
    - 청년: 월 16만 원(20개월) + 월 20만 원(4개월)
    - 기업: 2년간 총 400만 원 지원
    - 정부: 2년간 총 400만 원 지원
    청년은 자동이체 방식으로 납입하며, 기업은 지원금을 별도로 납입해야 하고, 정부는 예산을 통해 지원금을 정기적으로 지급합니다.

     

    구성 항목 납입 금액 설명
    청년 납입금 400만 원 2년간 월 분할 납입
    기업 지원금 400만 원 인건비 외 별도 납입
    정부 지원금 400만 원 국비 사업으로 지원
    만기 총 수령액 1,200만 원 + 이자 근속 2년 시 지급
    중도 해지 시 청년 납입금 일부 정부·기업 지원금 일부 반환



     

     

     

     

    ✅ 유효기간 및 제도 변화

     

    유효기간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하며, 이 기간을 초과하면 신청 자격이 상실됩니다. 또한 계약 후 2년간 매월 정해진 금액을 성실히 납입해야 만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도 종료
    2024년 이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일몰제 적용으로 신규 신청이 중단되었으며, 2025년부터는 제도 종료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가입자는 계약 기간까지 혜택이 유지되고 만기 수령도 가능합니다.

     

    대체 제도
    대신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청년도약계좌 같은 제도가 등장하며, 비슷한 목돈 마련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 확인 방법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여부 및 납입 현황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페이지에 로그인하면 납입 내역, 만기 예상 금액, 승인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어요.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1350 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특히 중도 퇴사나 휴직 등 특수 상황 발생 시 미리 문의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Q&A

     

    Q1.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지금도 신청할 수 있나요?
    A1. 아니요. 2024년부터 신규 신청은 중단되었으며, 2025년 현재는 제도가 종료된 상태입니다. 기존 가입자만 납입 및 수령이 가능해요.

     

    Q2. 중도 퇴사하면 어떻게 되나요?
    A2. 중도 해지 시 청년이 납입한 금액은 돌려받을 수 있지만, 정부와 기업의 지원금은 근속 기간에 따라 일부 또는 전액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단, 휴직 등 정당한 사유는 예외가 적용됩니다.

     

    Q3. 만기 수령금에 세금이 붙나요?
    A3. 일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청년이 납입한 금액은 비과세지만, 정부·기업 지원금에 대한 이자 수익은 과세 대상일 수 있으며, 대부분 원천징수로 처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