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퇴직금 계산 틀리면 수백만원 손해! 근속연수별 지급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다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내 퇴직금 정확한 계산방법을 확인하세요.
퇴직금 지급기준 완벽정리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며, 평균임금 × 근속일수 ÷ 365일 × 30일로 계산됩니다. 평균임금은 퇴직일 이전 3개월간 받은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요약: 1년 이상 근무 시 평균임금의 30배에 해당하는 퇴직금 지급
3분 완성 계산방법
평균임금 산출하기
퇴직일 이전 3개월간 받은 기본급, 각종 수당, 상여금을 모두 합산한 후 해당 기간의 총일수(92일 또는 93일)로 나누면 됩니다.
근속일수 확인하기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의 실제 근무일수를 계산합니다. 휴직기간이 있다면 제외하고 계산해야 합니다.
최종 퇴직금 계산
평균임금에 근속일수를 곱한 후 365로 나누고, 다시 30을 곱하면 최종 퇴직금이 산출됩니다.
요약: 평균임금 × 근속일수 ÷ 365 × 30 공식으로 정확히 계산

놓치면 손해보는 혜택
퇴직금은 퇴사 후 14일 이내에 지급받아야 하며, 지연 시 연 20%의 지연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퇴직연금 가입자는 일시금 또는 연금 중 선택할 수 있어 세금 절약이 가능합니다.
요약: 지연이자 20% 청구권과 퇴직연금 선택권 활용하기
실수하면 탈락하는 함정
퇴직금 계산 시 자주 발생하는 실수들을 미리 알고 대비해야 정확한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평균임금 산정 기간과 포함 항목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 상여금이 평균임금에 포함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 휴직기간이 근속년수에서 제외되었는지 점검하기
- 퇴직금 지급 시기 14일 내 지급 원칙 준수 확인
요약: 상여금 포함, 휴직기간 제외, 14일 내 지급 원칙 꼭 확인
근속연수별 퇴직금 지급표
근속연수에 따른 퇴직금 지급 기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월급 300만원 기준으로 산정한 예시 금액입니다.
| 근속연수 | 지급기준 | 예상 퇴직금 |
|---|---|---|
| 1년 | 평균임금 30일분 | 300만원 |
| 3년 | 평균임금 90일분 | 900만원 |
| 5년 | 평균임금 150일분 | 1,500만원 |
| 10년 | 평균임금 300일분 | 3,000만원 |
요약: 근속 1년당 평균임금 30일분씩 누적하여 퇴직금 지급